문화재청, 7월 환수한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 국립고궁박물관서 공개

고려 시대의 빼어난 공예 수준을 보여주는 유물이자 그동안 존재가 잘 알려지지 않았던 귀한 나전칠기 상자가 수백여 년 동안 일본에서 떠돌다 고국에 돌아왔다.
문화재청과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은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올해 7월 일본에서 환수한 고려 나전칠기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를 6일 공개했다.

나전칠기는 전복, 조개 등의 껍데기를 갈아 얇게 가공한 자개로 무늬를 장식하고 칠을 한 공예품을 일컫는다. 나무와 옻칠, 자개 등이 어우러져 영롱한 빛을 낸다. 그중에서도 고려의 나전칠기는 정교한 표현과 섬세한 기법으로 청자, 불화와 함께 고려 미술의 정수이자 최고 공예품으로 꼽힌다. 하지만 현재 남아있는 유물은 전 세계에 20점도 안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에 돌아온 나전국화넝쿨무늬상자는 13세기 작품으로 추정된다. 가로 33.0㎝ㆍ세로 18.5cmㆍ높이 19.4cm 크기의 상자 형태로 고려 나전칠기의 대표적인 문양인 국화넝쿨무늬와 모란넝쿨무늬가 고루 쓰였다. 뚜껑과 몸체에는 770여 개의 국화넝쿨무늬 자개가 감싸고 있으며, 뚜껑 윗면 테두리의 좁은 면에는 30여 개의 모란넝쿨무늬로 화려함을 더했다.
바깥쪽에는 점이나 원을 구슬을 꿰맨 듯 연결한 연주 무늬 약 1670개가 촘촘히 둘러싸고 있다. 상자에 사용된 자개만 해도 4만 5000여 개에 달한다.
약 800년의 세월이 흘렀으나 유물의 상태는 좋은 편이라고 재단 측은 설명했다. 그만큼 연구 및 전시 자료로써 활용 가치가 크다.

국내에 보관중인 나전은?

현재 전 세계에 남아있는 20건의 나전칠기 중 제작 시기가 분명하고 상태가 양호한 건 15점 정도다. 7점은 일본에 있으며, 국내에는‘나전국화넝쿨무늬합’등 3점이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 뚜껑이 있는 그릇 형태의 나전국화넝쿨무늬합은 길이가 10㎝에 불과한데, 꽃잎 3개를 붙인 모양의 유물은 미국과 일본에 있는 나전 합을 포함해 3점뿐이다. 보물로 지정된 ‘나전경함’은 두루마리 형태의 불교 경전을 보관하던 상자다. 나머지 1점은 ‘나전 대모 국화넝쿨무늬 불자’. 바다거북 등딱지인 대모의 뒷면에 붉은색을 채색하는 기법을 활용해 장식했다.
고려 공예예술의 정수로 평가받는 나전칠기가 많이 남아있지 않은 이유는 나무 즉, 목재를 쓰는 특성상 부서지기 쉬웠기 때문으로 본다.

 

 

 

저작권자 © 소년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나전칠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