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고 도는 돈
돈은 돌고 돌아. 이 사람한테 갔다가 저 사람한테 갔다가 나중에는 어디로 가는지 알 수 없지. 돌고 돌아서 이름이 돈일까? 아마도 이런 돈의 성질을 보면 이 풀이가 그럴듯하기도 해.
‘돈’이라는 이름이 어디서 비롯됐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주장이 있어. 그중 하나는 칼을 뜻하는 한자 ‘도(刀)’에서 왔다는 거야. 고려 말까지 ‘돈’과 ‘도’는 화폐를 뜻하며 함께 쓰였대. 소리도 두 가지를 함께 썼다지. 즉, 돈을 ‘돈’이라고도 부르고, ‘도’라고도 불렀다는 거야. 아주 오래전에 우리 조상들이 돈으로 사용했던 명도전이 칼 모양으로 생긴 걸 보면 알 수 있어. 그러다가 조선 시대에 세종 대왕이 한글을 만들면서 ‘돈’이라는 이름으로 정해 불렀대.
그런데 왜 ‘도’, 그러니까 칼이 돈이라는 뜻으로 쓰인 걸까? 돈이란 게 한 사람이 너무 많이 갖게 되면 안 좋은 일을 당하게 마련이기에 칼 모양으로 만들어 썼다는 주장이 있어. 그러니 이름도 ‘도(칼)’라고도 부르고, ‘돈’이라고도 불렀다는 거지. 욕심이 지나쳐서는 안 된다는 가르침이 담겨 있다는 거야.

 

어른들 사이에서는 돈 때문에 상처받고 남에게 상처 주는 일이 많아. 돈이 얽혀 생긴 상처는 칼에 베인 듯이 아프대. 물론 이런 뜻이 담겨 있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돈이라는 이름이 칼과 얽혀 있다는 점은 어느 정도 맞는 것 같아.
‘돈’이라는 이름이 고려 시대에 쓰던 ‘돈쭝’이라는 무게 단위가 변해서 생긴 거라고 말하는 학자들도 있어. 이 ‘돈쭝’이 ‘돈’으로 변했다는 거야. 이렇게 화폐를 뜻하는 말로 변한 돈쭝은 오늘날 금 같은 귀금속의 무게를 잴 때 쓰는 ‘돈’으로도 남은 것 같아. ‘금 한 돈, 두 돈’ 이렇게 세거든. 그 ‘돈’이 바로 ‘돈쭝’에서 온 말이래.
돈을 뜻하는 한자 ‘돈 전(錢)’의 예전 중국 발음에서 ‘돈’이라는 이름이 비롯되었다는 말도 있어. ‘錢’과 ‘돈’의 뜻이 같고 발음이 변한 과정도 설명이 가능하기 때문이야. 

물건값을 더하고 빼는 에누리
어른들은 물건을 사면서 값을 깎을 때 ‘에누리’라는 말을 써. “에누리 없는 장사가 어디 있어요?”라면서 말이야. 그런데 물건값을 깎는 일뿐만 아니라 실제보다 물건값을 더 많이 부르는 일도 ‘에누리’라고 해. 한 단어가 정반대의 뜻을 함께 가지고 있는 거지. 정말 재미있지? 
에누리는 ‘나누다, 베다’라는 뜻을 가진 ‘에다’의 ‘에’에 ‘늘리다, 더하다’라는 뜻을 가진 ‘늘이-’가 붙어 생긴 말이라고 해. 옛말에 ‘나누다, 베다’는 뜻을 가진 ‘어히다’라는 말이 있었어. 이게 ‘어히다→어이다→에다’로 바뀌어 지금 말로는 ‘살을 에다.’라고 할 때 쓰는 ‘에다’로 변했거든. 즉, 줄이고 늘이고 두 가지 뜻이 다 담겨 있는 거야. 
그렇다면 물건을 사고 받는 거스름돈은 왜 ‘거스름돈’일까? 거스름돈은 거슬러 주거나 받는 돈이야. 물건을 살 때 물건값보다 많은 돈을 내면 남은 돈을 거슬러 받잖아. 그게 거스름돈이야. 나간 돈이 다시 거슬러서 돌아오니까 거스름돈인 거지. 잔돈이라고도 말하는데, 잔돈은 거슬러 주거나 받는 돈을 말하기도 하지만 ‘적은 돈’을 뜻하기도 해. 

 

적은 돈은 ‘푼돈’이라고 해. 앞에 붙은 ‘푼’은 옛날에 쓰던 돈을 세는 단위로, 엽전 한 닢을 가리키는 말이야. ‘한 냥, 두 냥’ 할 때 쓰는 ‘냥’보다 작은 단위지. 열 푼이 한 냥이거든. 지금 돈으로 100원이 한 냥이라고 치면, 한 푼은 10원이겠지? 옛날 시대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를 보면 거지가 “한 푼 줍쇼.”라면서 구걸을 하는데 그걸 떠올려 보면 알 수 있지. 푼돈은 적은 돈이지만 푼돈을 하찮게 여기면 아마 큰돈도 모을 수 없을 거야.

 

/자료 제공= ‘왜 이런 이름이 생겼을까? 사물’(박영산 글ㆍ김윤정 그림ㆍ기린미디어)

저작권자 © 소년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